본문 바로가기

대출9

은행과 금융자본주의 2편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은행이 자본주의에서 지니는 위치, 역할을 다루고 무조건적인 믿음을 주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읽고 오시면 이 포스팅을 읽으실 때 더 편합니다. 은행과 금융자본주의 본래 은행은 자본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으나 금융자본주의가 오게 되면서 더욱 중요해지며 금융자본주의의 한가운데에 서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rebus.tistory.com 목차 1. 은행에 대한 무조건적 믿음의 위험성 2. 은행의 어두운 면 3. 은행도 결국 기업이다 1. 은행에 대한 무조건적 믿음의 위험성 은행원이 모든 것을 알고 우리에게 상품을 추천해 준다는 생각은 위험하기 그지없습니다. 몇천 개의 종류의 펀드를 그저 은행원이 모조리 공부를 .. 2024. 2. 10.
은행과 금융자본주의 본래 은행은 자본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으나 금융자본주의가 오게 되면서 더욱 중요해지며 금융자본주의의 한가운데에 서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미국에서의 변화 2. 우리나라의 경우 3. 은행도 결국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1. 미국에서의 변화 은행이 금융자본주의의 핵심이 된 배경은 1999년 미국에서 제정된 '금융서비스현대화법'의 영향이 컸습니다. 이 법이 만들어진 배경은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미국은 물론 전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의 원인을 상업은행들의 방만한 경영 방식이라고 판단한 미국 정부는 1933년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명백히 분리한다는 '글라스-스티걸'법을 제정했습니다. 은행들이 고객의 돈을 마음대로 유용할 수 있는 행위를 금지.. 2024. 2. 10.
FRB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의 의혹과 차세대 기축통화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를 부추겼다는 의혹을 받는 FRB. 사람들은 어떤 근거로 이런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의혹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목차 1. FRB의 책임 2. 현재는? 3. 대응방법 4. 차세대 기축통화의 후보? 1. FRB의 책임 미국의 부동산 시장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아직은 '버블'상태, 즉 과도한 열기가 있는 시장은 아니었다고 대체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FRB는 2000년 6.4%였던 금리를 수차례 낮추면서 결국 1.75%까지 만들게 됩니다. 이처럼 금리가 낮아지니 사람들은 빚을 쉽게 내며 투자를 하려는 과도한 희망을 품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이 결국 빚을 내서 집을 사는 과도한 투기 열풍을 일으켰다는 주장입니다. 은행의 기본 수익구조인 "빚.. 2024. 2. 7.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배경과 영향 저신용자들에게 높은 이자를 매기며 원금 회수율도 높았던 은행의 사업. 그러나 이 사업은 부동산의 거품이 빠지기 시작하면서부터 아주 빠르게 추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엄청난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전락해 버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기본 정보 2. 전개 3. 요약 4. 은행의 책임 1. 기본 정보 우선 '서브프라임'의 의미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에서는 개인에 대한 신용등급을 프라임(우수), 알트 A(중간), 서브프라임(저신용) 순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모기지의 의미는 주택을 구매하거나 차환하기 위해 돈을 빌리는 것을 허용하고 빌린 돈을 갚지 못할 경우 대출 업체가 채무자의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채무자와 대출 업체 간의 계약을 의미합니.. 2024.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