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자3

자본주의와 이자의 관계 자본주의의 시스템 안에는 '이자'라는 것이 계산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은행에서 돈을 빌리게 된다면 이자를 갚아야 합니다. 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어떻게 보면 이상한 이상한 시스템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인플레이션이라는 피할 수 없는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목차 1. 이자의 발생 2. 이자와 디플레이션 3. 빚을 통해 돈을 버는 사람들 4.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1. 이자의 발생 은행은 대출을 통해 돈을 만들지, 이자를 위해 돈을 만들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게 되면 이자를 내야 합니다. 은행은 결과적으로 대출해 준 금액보다 항상 더 많이 돌려받습니다. 우리들은 스스로의 신용에 이자를 내고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다뤘던 가상의 국가의 이야기로 돌아가 봅시다. .. 2024. 1. 25.
통화량의 증가와 인플레이션 중앙은행은 돈을 찍어내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멈출 수는 없습니다. 바로 '이자' 때문인데요. 이에 대해서 더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목차 1. 이자와 중앙은행 2. 인플레이션 3. 호황과 불황 1. 이자와 중앙은행 로저 랭그릭(Roger Langrick)의 '새로운 천년을 위한 통화시스템(A Monetary System for the new Millennium)' 이라는 논문에는 이자에 대한 문제가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외부 국가와 소통을 일절 하지 않는 단일한 통화체제를 가지고 있는 국가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국가의 중앙은행은 딱 1만 원을 발행했고, 시민 1은 그 돈을 빌린 후 1년 뒤에 10,500원으로 갚아야 한다고 합시다. 시민 1은 시민 2에게 배를 구입해서 열.. 2024. 1. 23.
은행의 자본주의에서의 진짜 역할 2편 은행과 자본주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이어 은행의 역사와 은행이 위기에 처하는 상황인 뱅크런, 경제를 조정하는 중앙은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은행의 역사 2. 은행의 위기, 뱅크런 3. 은행의 일 4. 중앙은행 1. 은행의 역사 앞의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아래글을 참고하시면 읽으실 때 편합니다. 자본주의에서의 은행의 진짜 역할 목차 1. 지급준비율 2. 통화량과 물가 3. 은행이 돌아가는 이유 4. 은행의 역사 1. 지급준비율 앞의 포스팅에서 지급준비율에 관해 쓴 글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더 빠릅니다. 자본주의의 토대, 빚 목 erebus.tistory.com 금세공업자는 남의 금화를 이용해 대출업을 하며 이자를 받고 많은 돈을 손에 넣게 되었.. 2024.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