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8

은행과 펀드의 관계 이전 포스팅에서는 후순위채권과 후순위채권이 일으켰던 문제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수익 상품들의 위험성과 은행과 펀드의 관계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고수익 상품은 그만큼 위험하다 2. 펀드 열풍 3. 펀드란? 1. 고수익 상품은 그만큼 위험하다 은행이 사람들에게 이자를 많이 준다고 보장을 한 상품을 산 순간부터 이미 위험에 노출된 것입니다. 이자를 많이 지급을 하려면 은행은 전보다 더 위험한 곳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많이 내야 하기 때문이죠. 위험한 곳에 투자를 하니 그 돈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고요. 그리고 실제로 은행이 투자에 실패를 한다면 그 손실의 피해는 바로 고객들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무조건 이자가 높다고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이 상품이 정.. 2024. 2. 13.
후순위채권과 저축은행 '이자를 많이 준다는 상품'을 보면 보통 좋아라 하고 긍정적으로 검토를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자를 많이 준다는 상품'은 상당히 위험한 상품일 것입니다. 이와 같은 사례는 저축은행 사태 당시의 '후순위채권'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목차 1. 은행과 저축은행의 차이 2. 저축은행의 만행 3. 후순위채권 1. 은행과 저축은행의 차이 2012년 5월에 한국, 한주, 미래, 솔로몬 등 4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했습니다. 그 후 비자금 조성, 불법대출 등의 문제로 정치권의 핵심 인물들과 은행장 등의 인물들이 구속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원인은 '상호신용금고법'이 '상호저축은행법'으로 2001년 3월에 개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법을 통해서 '상호신용금고'는 하루아침에 '저축은행'이라는 .. 2024. 2. 12.
은행과 금융자본주의 2편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은행이 자본주의에서 지니는 위치, 역할을 다루고 무조건적인 믿음을 주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읽고 오시면 이 포스팅을 읽으실 때 더 편합니다. 은행과 금융자본주의 본래 은행은 자본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으나 금융자본주의가 오게 되면서 더욱 중요해지며 금융자본주의의 한가운데에 서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rebus.tistory.com 목차 1. 은행에 대한 무조건적 믿음의 위험성 2. 은행의 어두운 면 3. 은행도 결국 기업이다 1. 은행에 대한 무조건적 믿음의 위험성 은행원이 모든 것을 알고 우리에게 상품을 추천해 준다는 생각은 위험하기 그지없습니다. 몇천 개의 종류의 펀드를 그저 은행원이 모조리 공부를 .. 2024. 2. 10.
은행과 금융자본주의 본래 은행은 자본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으나 금융자본주의가 오게 되면서 더욱 중요해지며 금융자본주의의 한가운데에 서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미국에서의 변화 2. 우리나라의 경우 3. 은행도 결국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1. 미국에서의 변화 은행이 금융자본주의의 핵심이 된 배경은 1999년 미국에서 제정된 '금융서비스현대화법'의 영향이 컸습니다. 이 법이 만들어진 배경은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미국은 물론 전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의 원인을 상업은행들의 방만한 경영 방식이라고 판단한 미국 정부는 1933년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명백히 분리한다는 '글라스-스티걸'법을 제정했습니다. 은행들이 고객의 돈을 마음대로 유용할 수 있는 행위를 금지.. 2024. 2. 10.